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통증의 종류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 통증)

by 쏭쏭쏭재미쏭 2021. 11. 19.

환자들이 오면 어디가 아픈지 병력을 청취한 후에 문제가 되는 구조물과 연관된 검사를 진행하고 촉진을 통해서 환자의 통증에 대해서 파악합니다. 보통 촉진을 할 때 눌러보면서 압통을 유발합니다. 검사를 할 때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는데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와 정확한 치료점을 선택하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통증은 감각신경성 통증과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으로인한 통증이 있습니다.

 

통증의 종류

통증의 종류는 감각신경성 통증이 있고 허혈성 통증, 병적등장성 수축에 의한 힘줄견인점이 생겨서 골막에 문제가 생기거나 주위 구조물에 염증이 생겨서 나는 통증 등이 있습니다.

 

감각신경성 통증

감각신경성 통증은 신경변성이 일어난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감각신경성 통증 예

흉쇄유돌근 - 경신경총 포착

척추기립근이 다열근의 척수신경의 뒷가지 포착

소흉근 - 내측상완피부신경 포착, 내측전완피부신경 포착

장골근 - 외측대퇴표피신경 포착

대퇴이두근 - 외측장딴지신경 포착

 

신경변성이 일어난 경우

시리거나 화끈거리거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이상감각을 느낄 경우 신경변성이 일어났다고 의심해봐야 합니다.. Disease period가 길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나을 수 있고, 낫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를 받아도 부분적으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아프고 움직이면 더 아픈 경우가 있습니다.

 

신경변성이 일어난 경우 검사방법

보통은 Pinch roll test로 검사해서 신경변성이 온 지 안 왔는지 검사합니다.

 

신경변성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저리거나 콕콕 쑤시는 날카로운 통증의 경우 신경변성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로 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습니다.  

 

허혈성 통증

흔히 담이 들었다고 하고 목이 뻐근하다고 하는 증상이 허혈성 통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담이 오고 뻐근한 증상 이외에도 너무 아파서 잠을 못 자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목이 결리고 아픈데 움직이면 더 통증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혈성 통증 예

허혈성 통증은 포착당한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에 통증형태로 나타납니다. 근육이 신경을 포착할 경우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에서 통증이 일어나는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흉쇄유돌근 - 부신경 포착
  • 중사각근 - 견갑배신경 포착, 장흉신경 포착, 흉배신경 포착
  • 전사각근 - 내측, 외측 흉근 포착
  • 대요근 - 대퇴신경 포착, 폐쇄신경 포착
  • 상완삼두근 - 요골신경 포착
  • 회외근 - 후경골신경 포착
  • 요측수근굴근, 장장근 - 정중신경 포착
  • 척측수근굴근 - 척골신경 포착
  • 이상근 - 상둔신경 포착, 하둔신경 포착, 후대퇴표피신경 포착, 좌골신경 포착
  • 햄스트링 - 경골신경 포착, 비골신경 포착

 

허혈성 통증 검사방법

문제가 있다고 의심되는 촉진해서 천천히 압박의 강도를 높여보면서 통증 유발 검사를 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힘줄견인점(Tendon Traction Point : TTP)으로 인한 통증

병적 등장성 수축에 의해서 힘줄견인점이 생겨서 근육이 닿는 부위의 골막을 끌어당겨서 통증이 생기거나 주위 연부조직에 염증이 생기게 해서 통증이 생기게 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강도는 움직임에 따라서 커지거나 참을 수 있거나 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여줍니다.

 

힘줄견인점 통증으로 인한 예

골막자극성 통증은 정지부에 보통 통증이 일어나지만 테니스 엘보우나 골프 엘보우처럼 기지부에 통증을 일으키는 통증도 있습니다.

 

힘줄견인점으로 인한 통증 검사방법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의 힘줄이 있는 근육을 압박하는 검사를 해보거나 힘줄 주위 압박해보면서 검사합니다.

 

자율신경성 통증

자율신경성 통증은 피부 분절과 관계없고, 지배 신경 패턴과도 다릅니다. 아침과 저녁에 주로 더 심해지는 양상이 있습니다. 

 

근막경선으로 이해하는 통증 양상

앞서 말한 3가지 경우로도 설명되지 않는 통증 양상은 근막 경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치료 포인트만 소개해보겠습니다. 장딴지 근육이 땡기면서 양측 발바닥이 저리나 대퇴이두근 장딴지 근육 이상이 없을 경우, 양측 발바닥 통증이 있으나 통증 양상이 주상골 부위에 압통을 했을 경우 있는 경우 긴장통합체의 압박과 긴장에 의한문제로 보고 요추다열근과 양측 대요근, 양측 이상근을 풀어주면 효과적입니다. 또한 발바닥에 신경종이 있을 경우에도 심부전방선과 외측선을 풀어준다고 생각해서 요추부 다열근, 대요근, 이상근, 대퇴이두근, 장단비골근, 후경골근, 장족지굴근 등을 계속 풀어주면 통증에 효과적입니다. 근막경선으로 생각해서 치료할 경우 주로 사각근, 대요근, 이상근, 흉요추다열근 등을 중심으로 풀어주면서 치료해주면 통증에 효과적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