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관절 통증 (진성관절통, 가성관절통)

by 쏭쏭쏭재미쏭 2021. 11. 18.

관절 통증은 실제로 관절 문제가 생겨서 생기는 진성관절통과 가성관절통이 있습니다. 진성관절통은 총 3가지 기전으로 발생합니다. 일차성 신경포착점, 이차성 신경포착점으로 발생하는 기전, 관절 간격이 좁아져서 생기는 기전이 있습니다. 관절 안의 심재성 문제보다는 관절 주위의 표재성 통증으로 기인하는 가성관절통이 있습니다. 가성관절통은 주로 관절 주위 근육에 힘줄 견인점이 생겨서 힘줄을 잡아당겨서 생기는 윤활낭염, 건막염, 건염 등이 있습니다. 

 

관절의 통증 종류

관절에 통증이 발생하면 관절을 구성하는 요소인 관절낭, 활액막, 인대, 신경의 관절 가지(Articular branch)에 자극이 생겨 발생하는 진성관절통과 실제로 관절을 구성하는 요소의 문제가 아니라 관절 주위에 있는 조직들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가성관절통이 있습니다.

 

진성관절통이란?

신경의 관절 가지(Ariticular branch), 관절낭, 인대, 활액막 등에 자극이나 흥분이 생겨서 발생한 감각신경성 통증이 있다.

 

진성관절통 기전

진성관절통은 총 3가지 기전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진성관절통 첫 번째 기전

진성관절통은 관절을 지나는 근육의 병적인 등장성 수축으로 힘줄견인점이 생기면 근육이 짧아지게 되면서 동시에 관절사이 간격을 좁히게됩니다. 관절면 간격이 좁아지게되면 관절면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게되고 관절면 사이를 구성하고 있는 관절낭, 인대, 활액막, 신경의 관절 가지 등에 자극이 가해져서 통증이 발생하게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어서 오래되면 퇴행성 관절염이됩니다. 

 

진성관절통 두 번째 기전 - 이차성 신경포착점, 보상적 신경포착점

관절 주위를 지나가면서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이 병적인 등장성 수축으로 인해서 힘줄 견인점을 형성하게 되면 보상적 신경포착점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보상은 힐톤 법칙에 따라서 그 관절을 지배하는 신경의 관절 가지가 흥분하게 되고 관절낭 자체에 통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HILTON'S LAW 
힐톤 법칙은 관절을 움직여주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해당 관절의 감각과 피부 감각 모두 지배한다는 이론입니다. 관절낭의 감각과 관절을 움직이는 지배하고 있는 근육의 정지부에 있는 피부 감각도 모두 관여한다는 이론으로 신체 모든 관절에서 예외 없이 적용됩니다.

 

진성관절통 세 번째 기전 - 일차성 신경포착점

관절 주위를 지나가면서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에 병적 등장성 수축이 생겼지만 심하지 않을 경우 힘줄 견인점이 생기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에도 신경의 관절 가지가 주변 근육이 신경을 포착해서 신경포착점이 생겨서 압박하게 되어서 과흥분되면 그 자체만으로 관절낭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성관절통

관절 자체 통증이 아니라 주위 조직으로 인한 통증을 말합니다. 관절 주변을 지나가는 근육에 병적인 등장성 수축으로 힘줄견인점이 형성되면 골막염이나 주변 조직과의 마찰이 생기게 되고, 마찰로 인해서 힘줄집(tendon sheath), 윤활주머니(bursa)에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관절 안의 심재성 문제가 아니라 관절 주변의 표재성 문제이므로 관절과 직접적으로 상관없다고 해서 가성 관절통이라고 말합니다. 

 

가성관절통 예 : 거위발

거위발은 봉공근, 반건양근, 박근을 말합니다. 3가지 근육은 모두 경골의 안쪽 무릎 주위에 정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거위발에 염증이 생기면 무릎 관절통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거위발에 염증 종류는 거위발건염, 거위발윤활낭염이 있습니다. 물론 힐톤 법칙에 의해 진성관절통도 있기도 합니다. 

 

가성관절통 조금 더 알기 쉽게 설명

가성 관절통은 관절 주위에 있는 힘줄, 윤활낭, 건막에 생기는 표재성 통증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 관절을 지나는 근육에 병적 등장성 수축으로 인해서 관절중심점이 생겨서 힘줄을 잡아당겨서 통증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성관절통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