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통증유발점 : 힘줄견인점(TTP), 신경포착점(NEP)

by 쏭쏭쏭재미쏭 2021. 11. 18.

통증유발점은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생활하면서 생기는 통증유발점과 평소엔 괜찮다가 자극을 주면 통증이 생기는 통증유발점, 트리거 포인트라고해서 자극을 줄 때 새로운 통증지점이 생기는 통증유발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 유발점은 신경포착점과 힘줄견인점이 있으며 신경포착점은 일차성 신경포착점과 이차성 신경포착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증유발점이란?

통증유발점은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통증이 발생하는 지점을 통증 유발점이라고 하고,  또한 평소에는 괜찮다가 압을 가할 때 발생하는 통증이 있다. 트라벨이라는 사람이 주장한 통증유발점이 있습니다. 트라벨이 주장한 통증유발점은 트리거 포인트라고도 하는데 트리거 포인트에 따라서 통증 발생 영역이 새롭게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증유발점은 신경포착점(Nerve entrapment point : NEP)과 힘줄견임점(tendon traction point : TTP)이 있습니다.

 

신경포착점(Nerve entrapment point : NEP)

신경포착점은 신경이 근육이나 디스크 등의 구조물 등으로 신경을 압박해서 과흥분을 일으켜서 통증을 일으키는 지점을 말합니다. 신경포착점은 일차성 신경포착점과 이차성 신경포착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성 신경포착점

일차성 신경포착점은 체성 운동신경 포착점(Somatic motor nerve entrapment point), 체성감각신경 포착점(Somatic sensory nerve entrapment point), 자율신경성 신경 포착점(Autonomic nerve entrapment point)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체성 운동신경 포착점(Somatic motor nerve entrapment point)

체성 운동신경이 포착되어 과흥분을 일으키면 근육의 허혈성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체성 감각신경 포착점(Somatic sensory nerve entrapment point)

체성 감각신경이 포착되어 과흥분을 일으키게되면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피부의 이성감각통증이나 관절낭의 날카로운 통증율 유발하게 됩니다.

 

자율신경성 신경 포착점(Autonomic nerve entrapment point)

자율신경성 신경이 포착되어 과흥분하게되면 해당 신경이 지배하는 장기의 기능부전이나 통증, 체간 및사지의 감각신경성 통증이 발생하게됩니다. 주로 자율신경성 신경 포착은 교감신경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sympathetic nerve entrapment(SNEP)라고 합니다. 기존 체성 감각신경 포착점과 체성 운동신경 포착점에 초점을 맞춰서 치료를 했는데 잘 낫지않거나 밤에 통증이더 심하거나 피로와 열감이 함께 있을 경우 자율신경성 신경 포착을 생각해봐야합니다. 

 

이차성 신경포착점

힘줄이 잡아당겨서 생기는 통증은 주로 병적인 등장성 수축으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병적인 등장성 수축으로 인해 힘줄견인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통증에 대해서 보상적으로 유발된 통증 유발점을 이차성 신경포착점이라고 하고 보상적 신경포착점이라고도 합니다.

 

힘줄견임점(tendon traction point : TTP)

힘줄견인점은 힘줄을 잡아당겨 힘줄이 붙어있는 튀어나온 뼈 부분의 골막이나 주위 연부조직을 자극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