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신경계 임상적용(신경증상 발생원인, 신경통증 발생기전)

by 쏭쏭쏭재미쏭 2021. 10. 26.

환자를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압박요소입니다. 압박으로 인해 신경이 눌리게 되는 현상을 신경포착이라고 합니다. 신경이 주행하는 가운데, 근육이나 디스크, 주면 조직에 의해서 압박을 일으키는 요인들을 살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vasa nervorum의 수축에 의해 신경이 허혈하게 되면서 이러한 압박을 받으면 신경에 흥분이 일어나게 됩니다. 염증과 부종이 vasa nervorum이 압박되게 됩니다. 신경증상을 일이키는 곳은 신경이 주행하는 모든 근육과 그 주변을 이루는 조직입니다. 

 

신경증상 발생원인

신경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순차적 신경포착 (Serial Nerve entrapment), 누적적 신경포착 (Cumulative nerve entrapment) 2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순차적 신경포착 (Serial Nerve entrapment)

순차적 신경포착(Serial Nerve entrapment)은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가는 지역의 신경포착을 모두 더한 값이 신경흥분역치를 넘어서 신경증상이 나타난 것을 말합니다. 

 

누적적 신경포착 (Cumulative nerve entrapment)

누적적 신경포착(Cumulative nerve entrapment)은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가는 신경 주행로 중에서 근위부의 특정 지점에서 신경흥분역치를 넘지 않을 만큼 증상이 일어나지 않아도 nerve vasorum에 영향을 줘서 근위부 지역의 특정 지역에 압박만 살짝 받아서 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신경포착 이론

임상에서는 순차적 신경포착(Serial Nerve entrapment)을 주로 이용해서 치료를 합니다. 순차적 신경포착으로 인해 신경흥분역치를 떨어뜨려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주로보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신경이 지나가는 부위 중 가장 처음 신경을 압박할 수 있는 부위는 신경이 추간공에서 나가는 부위를 보호하고 있는 척추심부근육을 주의깊게 봐야합니다. 만성통증일 경우 체신경과 자율신경 모두 비정상적이 대부분으로 보고 있습니다.

 

말초신경 통증,감각,운동 민감도와 마취 방법

말초신경은 통증, 감각, 운동순으로 외부자극에 민감합니다. 팔이나 다리를 수술할 때 말초신경을 마취할 때는 마취제를 수술하려는 부위보다 근위부에 주사하게 되면 통증이 가장 먼저 마취되고 감각, 운동신경 순으로 외부자극에 민감한 순서대로 마취가됩니다. 마취제 농도를 조절하여 통증만 없어지게 하거나 감각까지 없어지게 하거나 운동신경까지 없어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말초신경 자극이 많이 받는 곳

경흉추 접합부, 흉요추 접합부, 요천추 접합부처럼 척추의 움직임이 주로 바뀌는 지역에서 자극을 많이 받게 됩니다. 경추는 6가지의 움직임, 흉추는 6가지의 움직임, 요추는 2가지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될때 움직임이 발생하는 관절(Joint)과 마찰이 주로 발생하는 facet joint에서도 자극을 많이 받게됩니다. 또한 말초신경의 주행경로와 다르게 주행하면서 마찰과 압박을 일으킬 수 있는 곳에서도 말초신경은 자극을 많이 받게 됩니다.

 

신경통증의 발생기전

마찰이나 압박에 의해 염증이 생겼다는 것은 신경을 싸고 있는 근막이나 신경의 주행을 안정되게 잡고있는 근막이 염증에 의해 부어있고, 구조물들이 꼬여있거나 무너져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관절의 정상적인 방향에서 일어나는 운동이 안되면 관절주변부위에서 마찰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염증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말초신경이 주행하게 되는 곳 중 말초신경과 평행하게 주행하지 않는 곳에서 병적 수축에 의해 신경 주변에 마찰이나 압박이 일어나 염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주로 신경을 싸고 있는 근육이나 주변조직에서부터 근막이 헝클어지면서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신경통증의 치료방법

헝클어진 근막 중 염증이 생긴 부위에 주사나 침을 놓아서 치료를 하게됩니다. 또한 마찰이나 압박이 생긴 신경 주위 구조물들인 근육, 힘줄 등을 정상화하여 관절의 움직임이 정상적으로 움직이게 하여야합니다. 또한 자세와 체형을 교정해서 이러한 마찰이나 압박을 없애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