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관절 통증 (진성관절통, 가성관절통) 관절 통증은 실제로 관절 문제가 생겨서 생기는 진성관절통과 가성관절통이 있습니다. 진성관절통은 총 3가지 기전으로 발생합니다. 일차성 신경포착점, 이차성 신경포착점으로 발생하는 기전, 관절 간격이 좁아져서 생기는 기전이 있습니다. 관절 안의 심재성 문제보다는 관절 주위의 표재성 통증으로 기인하는 가성관절통이 있습니다. 가성관절통은 주로 관절 주위 근육에 힘줄 견인점이 생겨서 힘줄을 잡아당겨서 생기는 윤활낭염, 건막염, 건염 등이 있습니다. 관절의 통증 종류 관절에 통증이 발생하면 관절을 구성하는 요소인 관절낭, 활액막, 인대, 신경의 관절 가지(Articular branch)에 자극이 생겨 발생하는 진성관절통과 실제로 관절을 구성하는 요소의 문제가 아니라 관절 주위에 있는 조직들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 2021. 11. 18.
통증유발점 : 힘줄견인점(TTP), 신경포착점(NEP) 통증유발점은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생활하면서 생기는 통증유발점과 평소엔 괜찮다가 자극을 주면 통증이 생기는 통증유발점, 트리거 포인트라고해서 자극을 줄 때 새로운 통증지점이 생기는 통증유발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 유발점은 신경포착점과 힘줄견인점이 있으며 신경포착점은 일차성 신경포착점과 이차성 신경포착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증유발점이란? 통증유발점은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통증이 발생하는 지점을 통증 유발점이라고 하고, 또한 평소에는 괜찮다가 압을 가할 때 발생하는 통증이 있다. 트라벨이라는 사람이 주장한 통증유발점이 있습니다. 트라벨이 주장한 통증유발점은 트리거 포인트라고도 하는데 트리거 포인트에 따라서 통증 발생 영역이 새롭게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증유발점은 신경포착점(Nerve.. 2021. 11. 18.
근육의 병적 수축 (병적 등장성 수축, 병적 등척성 수축) 근육은 액틴과 마이오신으로 구성된 근육 잔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육 원섬유를 근육 속 막이 덮고 있습니다. 근육 수축은 액틴과 마이오신이 결합하는 근 활주설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육 수축은 근길이가 변화하면 등장성 수축, 변하지 않으면 등척성 수축으로 구분됩니다. 등장성 수축은 등장성 수축과 병적 등장성 수축이 있으며 등척성 수축 또한 등척성 수축과 병적 등장성 수축이 있습니다. 근육의 구성 근육다발들이 근육 다발 막에 싸여 다발을 이루고 근육 바깥 막에 싸여 근육 힘살일 구성합니다. (perimysium이 epimysium에 싸여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근육섬유는 액틴과 마이오신으로 구성된 근육잔섬유들로 구성된 근육 원섬유가 모여서 근육속 막으로 싸여 있습니다. 근육의 수축 - 근 활주설 액틴.. 2021. 11. 17.
신경계 임상적용(신경증상 발생원인, 신경통증 발생기전) 환자를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압박요소입니다. 압박으로 인해 신경이 눌리게 되는 현상을 신경포착이라고 합니다. 신경이 주행하는 가운데, 근육이나 디스크, 주면 조직에 의해서 압박을 일으키는 요인들을 살려볼 필요가 있습니다. vasa nervorum의 수축에 의해 신경이 허혈하게 되면서 이러한 압박을 받으면 신경에 흥분이 일어나게 됩니다. 염증과 부종이 vasa nervorum이 압박되게 됩니다. 신경증상을 일이키는 곳은 신경이 주행하는 모든 근육과 그 주변을 이루는 조직입니다. 신경증상 발생원인 신경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순차적 신경포착 (Serial Nerve entrapment), 누적적 신경포착 (Cumulative nerve entrapment) 2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순차적 신경.. 2021.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