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이복근(두힘살근 : Digastric muscle) 기능해부학 이복근은 턱 아래에 있는 근육으로 주로 음식을 먹거나 입을 벌릴 때 아래턱을 내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이복근 아래로는 vagus nerve와 spinal accessory nerve가 지나가는데 이복근에 문제가 생겨서 해당 신경들을 포착한다면 spinal accessory nerve가 지배하는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에 문제가 생기고, vagus nerve에도 문제가 생겨서 위장관 증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복근 움직임 이복근은 아래턱 뼈를 아래로 내려주고 침을 삼킬때 설골을 위로 올려줍니다. 이복근 특이사항 이복근은 설골과 턱관절에 부착하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려고 입을 벌릴 때나 침을 삼킬 때 연관된 근육입니다. 교통사고 후 소화 장애나 대사 장애 증세를 보일 때 이복근 아래를 지나는 신경 문제일 수 .. 2021. 12. 10.
흉쇄유돌근(못빗근 : SCM) 기능해부학 흉쇄유돌근은 목을 움직여주는 근육으로 목을 굽혀주고, 가쪽으로 기울여주는 기능을 하는 근육입니다. 흉쇄유돌근은 특이하게 목뼈에 부착하지 않는 유일한 목을 움직여주는 근육으로 두개골과 쇄골에 붙는 근육입니다. 흉쇄유돌근은 일자목과 거북목과도 관련이 있으며 주로 1/3지점과 1/2지점에서 손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흉쇄유돌근 움직임 흉쇄유돌근은 심호흡을 할 때 목뼈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용하면 들숨 쉬에 SC Joint를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 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장뼈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Lateral flexion을 해주는 역할과 반대쪽으로 고개를 돌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한쪽만 수축할 경우 반대쪽으로 고개를 돌려주면서 같은 쪽으로 고개를 Lateral flexion 시켜줍.. 2021. 12. 10.
초진 환자 문진시 질문으로 알 수 있는 것 환자가 처음 왔을 때 문진을 통해 환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통증의 양상을 통해서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구분할 수 있고, 통증유발점이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신경포착점에 의한 통증인지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양상을 통해서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구분한다. 처음 왔을 때 어디가 아픈지 물어보고 통증의 양상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가만히 있어도 계속 아픈지 아니면 어떻게 불편한지 물어보고 감각신경성 통증인지 허혈성 통증인지 구분합니다. 그러고 나서 움직이면 더 불편한지 어떻게 불편한지 물어봅니다. 힘줄견인점에 의한 염증성 통증인지 허혈성 통증인지 구분합니다. 환자가 아픈 부위를 정확하게 잡아내지 못하고 전부가 .. 2021. 11. 19.
통증의 종류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 통증) 환자들이 오면 어디가 아픈지 병력을 청취한 후에 문제가 되는 구조물과 연관된 검사를 진행하고 촉진을 통해서 환자의 통증에 대해서 파악합니다. 보통 촉진을 할 때 눌러보면서 압통을 유발합니다. 검사를 할 때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는데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와 정확한 치료점을 선택하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통증은 감각신경성 통증과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으로인한 통증이 있습니다. 통증의 종류 통증의 종류는 감각신경성 통증이 있고 허혈성 통증, 병적등장성 수축에 의한 힘줄견인점이 생겨서 골막에 문제가 생기거나 주위 구조물에 염증이 생겨서 나는 통증 등이 있습니다. 감각신경성 통증 감각신경성 통증은 신경변성이 일어난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수 있.. 2021.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