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 사각근 (목갈비근 : Scalen) 기능해부학 사각근은 목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3개씩 6개로 사선방향으로 목을 지탱해주면서 안정성을 더 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주로 목의 굽힘이나 가쪽굽힘의 움직임을 만들어줍니다. 사각근은 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각각의 기능이 조금씩 다릅니다. 목을 굽힐 때나 가쪽으로 굽힐 때 통증이 있으니 치료해주면 좋습니다. 사각근 움직임 사각근의 경우 한쪽만 작용할 경우 목의 외측 굴곡을 주로 합니다. 사각근의 주기능은 Neck flexion입니다. 전사각근 움직임 Neck flexion, Neck lateral flexion 중사각근 움직임 Neck lateral flexion 후사각근 움직임 Neck lateral flexion, Neck rotation 전사각근 + 중사각근 = Neck flexi.. 2021. 12. 22. 견갑거근(어깨올림근 : levator scapular) 기능해부학 견갑거근은 어깨뼈를 올려주면서 어깨뼈를 하방 회전시켜줍니다. 그 외에도 목 가쪽으로 굽혀주면서 목을 돌려주는 기능도 함께합니다. 무거운 것을 오래 들거나 무거운 가방을 오랫동안 메고 다닌다면 견갑거근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흉추의 시상면에서 변화가 생긴다면 견갑거근에 또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목 디스크 증상이 있거나 저림 증상이 있을 때도 치료해주어야 하고 능형근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 견갑배신경 포착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견갑거근을 함께 풀어주면 효과적입니다. 견갑거근 움직임 견갑거근은 날개뼈 올림, 날개뼈 하방회전을 시켜주는 근육입니다. 목을 가쪽으로 굽혀주고 목을 돌려주는 역할도 보조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견갑거근 특이사항 무거운 것을.. 2021. 12. 11. 승모근(등세모근 : trapezius) 기능해부학 승모근은 상부 승모근, 중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3 부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승모근은 부위에 따라 편측 수축할 경우와 함께 수축할 경우 다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과 대후두신경(greater occipital nerve)과 관련 있습니다. 어깨 뻐끈함, 어깨뼈 벌림, 두통과 관련된 통증이 생기면 치료해야 합니다. 어깨뼈 움직임 시 문제가 생기거나 목을 굴곡하거나 가쪽 굽힘 시 통증이 있을 때 치료해야 합니다. 치료할 때 흉쇄유돌근도 함께 치료해주면 효과적입니다. 승모근 부위별 특징 상부승모근 어깨뼈 올림, 어깨뼈 상방 회전을 해줍니다. 반으로 나눠서 왼쪽이 수축한다면 오른쪽으로 목을 회전시키고 왼쪽으로 가쪽 굽힘 해줍니다. 양쪽 모두 수축한다면 머리와 .. 2021. 12. 11. 경장근(목긴근: longus colli muscle) 기능해부학 경장근은 목을 굽혀주고 목의 안정화 기능을 해주는 근육입니다. 경장근은 목 전면부에 위치해서 이복근과 함께 목을 신전시킬 때 통증이 있으면 치료해주면 좋고, 흉쇄유돌근과 함께 목을 회전시킬 때 통증이 있으면 치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경장근 움직임 경장근은 목을 굽혀주거나 돌려주는 동작을 해주는 근육입니다. 경장근 특이사항 경장근은 목을 안정화시켜주는 근육으로 흉쇄유돌근과 더불어서 거북목(forward head posture)과 관련 깊은 근육입니다. 이복근과 마찬가지로 목 전면부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경장근과 이복근이 문제가 생겨서 목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함께 치료해주면 좋습니다. 목 전면부 근육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목 후면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경장근 치료해줘야하는 경우 목.. 2021. 12. 11. 이복근(두힘살근 : Digastric muscle) 기능해부학 이복근은 턱 아래에 있는 근육으로 주로 음식을 먹거나 입을 벌릴 때 아래턱을 내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이복근 아래로는 vagus nerve와 spinal accessory nerve가 지나가는데 이복근에 문제가 생겨서 해당 신경들을 포착한다면 spinal accessory nerve가 지배하는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에 문제가 생기고, vagus nerve에도 문제가 생겨서 위장관 증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복근 움직임 이복근은 아래턱 뼈를 아래로 내려주고 침을 삼킬때 설골을 위로 올려줍니다. 이복근 특이사항 이복근은 설골과 턱관절에 부착하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려고 입을 벌릴 때나 침을 삼킬 때 연관된 근육입니다. 교통사고 후 소화 장애나 대사 장애 증세를 보일 때 이복근 아래를 지나는 신경 문제일 수 .. 2021. 12. 10. 흉쇄유돌근(못빗근 : SCM) 기능해부학 흉쇄유돌근은 목을 움직여주는 근육으로 목을 굽혀주고, 가쪽으로 기울여주는 기능을 하는 근육입니다. 흉쇄유돌근은 특이하게 목뼈에 부착하지 않는 유일한 목을 움직여주는 근육으로 두개골과 쇄골에 붙는 근육입니다. 흉쇄유돌근은 일자목과 거북목과도 관련이 있으며 주로 1/3지점과 1/2지점에서 손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흉쇄유돌근 움직임 흉쇄유돌근은 심호흡을 할 때 목뼈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용하면 들숨 쉬에 SC Joint를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 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장뼈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Lateral flexion을 해주는 역할과 반대쪽으로 고개를 돌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한쪽만 수축할 경우 반대쪽으로 고개를 돌려주면서 같은 쪽으로 고개를 Lateral flexion 시켜줍.. 2021. 12. 10. 초진 환자 문진시 질문으로 알 수 있는 것 환자가 처음 왔을 때 문진을 통해 환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통증의 양상을 통해서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구분할 수 있고, 통증유발점이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신경포착점에 의한 통증인지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양상을 통해서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에 의한 통증인지 구분한다. 처음 왔을 때 어디가 아픈지 물어보고 통증의 양상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가만히 있어도 계속 아픈지 아니면 어떻게 불편한지 물어보고 감각신경성 통증인지 허혈성 통증인지 구분합니다. 그러고 나서 움직이면 더 불편한지 어떻게 불편한지 물어봅니다. 힘줄견인점에 의한 염증성 통증인지 허혈성 통증인지 구분합니다. 환자가 아픈 부위를 정확하게 잡아내지 못하고 전부가 .. 2021. 11. 19. 통증의 종류 (감각신경성 통증,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 통증) 환자들이 오면 어디가 아픈지 병력을 청취한 후에 문제가 되는 구조물과 연관된 검사를 진행하고 촉진을 통해서 환자의 통증에 대해서 파악합니다. 보통 촉진을 할 때 눌러보면서 압통을 유발합니다. 검사를 할 때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는데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와 정확한 치료점을 선택하기 위한 압통을 유발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통증은 감각신경성 통증과 허혈성 통증, 힘줄견인점으로인한 통증이 있습니다. 통증의 종류 통증의 종류는 감각신경성 통증이 있고 허혈성 통증, 병적등장성 수축에 의한 힘줄견인점이 생겨서 골막에 문제가 생기거나 주위 구조물에 염증이 생겨서 나는 통증 등이 있습니다. 감각신경성 통증 감각신경성 통증은 신경변성이 일어난 경우와 일어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수 있.. 2021. 11. 19. 이전 1 2 다음